こんにちは!韓国外国語大学に正規留学中のririです🌸
今回は、한국어의 음절 구조(韓国語の音節の構造)についてまとめていきます!
他の韓国語教員勉強についての記事はこちらにまとめてあります✍
음절의 성격
음절의 정의
음절은 독립해서 발음할 수 있는 최소단위이다. 한국어에서 자음이나 활음은 스스로 음절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모음과 결합하여 음절을 이룬다.
음절의 중요성
①음절은 사람들이 가장 쉽게 인식하는 단위이다. 누구나 어떤 단어를 들으면 그 단어가 몇 개의 음절로 이루어져 있는지 쉽게 안다.
②여러가지 음운 현상들은 음절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어떤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뀐다든지 탈락하는 것은 음절 내에서의 위치와 밀접한 관력을 맺는 경우가 많다.
③장단, 고저, 강약과 같은 음소는 보통 음절을 단위로 해서 살현된다.
음절의 내부 구조
음절의 구성 성분
▶음절의 구성 성분은 크게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눌 수 있다.
구분 | 위치 | 기능 | 자격 |
초성(두음) | 음절의 주변부 | 부가 성분, 없어도 됨. | 자음만 가능 |
중성(음절핵) | 음절의 중심부 | 필수 성분, 없으면 안 됨 | 모음만 가능 |
종성(말음) | 음절의 주변부 | 부가 성분, 없어도 됨. | 자음만 가능 |
👉한국어의 음절 구성 성분에서는 중성이 가장 중요하다.
▶탈설음[r]과 석축음[l]
탈설음[r]과 석축음[l]은 ‘ㄹ’이 어디에서 사용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라면, 바라보다
👉음절초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탈설음[r]이 된다.
・달, 알
👉음절말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석축음[l]이 된다.

음절의 유형
한국어의 음절 유형
한국어의 음절 유형은 자음, 모음, 활음의 결합 방식에 따라 9가지 유형이 구분된다.
1.V-형 :아, 이, 우, 어, 으…
2.CV-형 :무, 자, 호, 커, 흐 …
3.GV-형 :야, 요, 유, 와, 워…(이중모음 *활음₊모음)
4.VC-형 :욱, 엄, 울, 읻…
5.VG-형 :의 👉 *모음₊활음の이중모음になるのはこれだけ!!
6.CGV-형 :혀, 규, 귀, 봐…
7.CVC-형 :각, 달, 발, 난…
8.GCV-형 :약, 곽, 욕, 연…
9.CGVC-형 :향, 병, 명, 년…
*GV=이중모음 をなしで考える(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생각하면)と、同じ形なのは4種類になる。
CVG-형, CVGC-형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CVG-형: 늬[니], 희[히]
▶CVGC-형: 흰[힌]
👉자음₊’ㅢ’=이 の発音になる!=음절논에서는 들자보다 발음이 중요하다
음절의 종류
음절은 종성 자리에 자음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개음절과 폐음절을 구분할 수 있다.
개음절은 종성이 비어 있는 음절이고 폐음절은 종성에 자음이 하나 이상 오는 음절이다.
개음절과 폐음절의 차이가 한국어에서는 큰 기능은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언어에서는 이 차이에 따라 강약의 위치가 결정되기도 하고 모음의 장단이 결정되기도 한다.
▶개음절(열린 음절): V(GV,VG), CV(CGV)
👉알, 격, 담, 참, 막…
▶폐음절(닫힌 음절): VC(GVC), CVC(CGVC)
👉효, 뇨. 소, 가, 겨…
음절과 관련된 제약
①초성에는 자음군 제약이 있어 최대 하나의 자음만 허용된다.
②초성에는’ㅇ‘도 오지 못한다.
③종성에서도 자음군 제약이 있고 그 중에서도 ㄱ,ㄴ,ㄷ,ㄹ,ㅁ,ㅂ,ㅇ 7개 자음만이 올 수 있다.
👉종성규칙/음절말 끝소리 규칙/음절말 중성화
최대 허용 자음 수 | 허용하는 자음의 종류 | |
초성 제약 | 1개 | ‘ㅇ‘를 제외한 18개 |
종성 제약 | 1개 | ㄱ,ㄴ,ㄷ,ㄹ,ㅁ,ㅂ,ㅇ 7개 |
음절 경계
음절화의 정의
음소들의 연쇄는 음절 단위로 묶을 수 있는데 이 과정을 음절화라고 한다. 음절의 내부 구조를 알기 위해서는 음절화가 먼저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음절화가 되면 자연스럽게 음절의 앞, 뒤에 음절 경계가 생기고 음절의 내부 구조도 결정된다.
한국어의 음절화 절차
1단계) 모음을 먼저 찾아 하나의 음절을 만든다.
2단계) 모음 바로 앞에 자음이 있으면 그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음절로 묶는다.
3단계)단, ‘ㅇ’은 그대로 둔다. 👉초음 제약 때문에 초성에 ‘ㅇ’은 올 수 없다!
남은 자음은 모두 선행하는 모음과 하나의 음절로 묶는다.

コメント